뭐임?
- RESTful API 는 REST 아키텍쳐 스타일을 따르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(API) 이다. REST는 웹 기본 원칙(HTTP 프로토콜, URI, 메서드 등)을 활용하여 시스템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정의한 설계 방식이다. RESTful API는 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.
구성 요소?
1. 자원 Resource : REST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자원으로 취급, URI로 식별함
2. HTTP 메서드 : 자원에 대해 수행할 작업 정의 / GET(자원 조회), POST(자원 생성), PUT(자원 수정), DELETE(자원 삭제)
3. 상태 코드 Status Code : 요청의 결과를 나타냄 / 200 OK, 201 Created, 400 Bad Request, 404 Non Found, 500 internal Server Error
4. 헤더 Header : 요청, 응답에 대한 메타 데이터 포함
5. 페이로드 Payload : 요청, 응답에 포함된 실제 데이터 (주로 JSON, XML 형식으로 전송)
핵심 원칙?
- 클라이언트-서버 구조
- 무상태성
- 캐시 가능
- 계층화 시스템
- 일관된 인터페이스
'공간정보아카데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발 필수 개념 총정리 (JSON부터 Spring Boot, Node.js 까지) (0) | 2025.09.09 |
---|---|
Spring - Bean 주입 / XML vs JavaConfig (0) | 2025.09.06 |
Filter vs Interceptor vs AOP (0) | 2025.09.06 |
Spring AOP - LogAdivce 구현 예제 (0) | 2025.09.06 |
MyBatis - Logging (0) | 2025.09.04 |